1부 역사적 상황

1장 요한 칼빈의 성찬론

 

요한 칼빈의 성찬론은 풍요롭고, 복잡하며 더욱이 우리를 놀랍게 만든다. 이 주제에 관한 그의 글들은 개혁자로서 그의 생애 전부를 포괄하며 설교집, 문헌집, 주석집, 그리고 신학 작품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칼빈은 로마 가톨릭 뿐만 아니라 루터란들과 츠빙글리의 후계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했다. 비록 칼빈이 그의 사역 초기에 이 교리의 핵심적 내용들을 개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과 이렇게 지속되는 논쟁들은 몇 가지 점에 있어서 그의 견해를 더욱 예리하고 분명하게 다듬도록 이끌어 주었다.

칼빈의 주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만찬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던 16세기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칼빈이 1530년대 후반에 이 논쟁에 뛰어들기 전에 이 논쟁은 수년간 지속되고 있었다. 1520년대에 마틴 루터는 그의 책 교회의 바빌로니아 포로에서 로마 가톨릭의 성례 이해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루터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단지 두 가지(또는 세 가지) 성례만을 제정하셨다고 주장함으로서 7가지 성례가 존재한다는 로마 가톨릭의 논지를 반박하였다. 그는 또한 로마 가톨릭의 견해가 성례에 있어서 사제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그의 관심을 로마 교회의 세 가지 오류에 집중하였다

 

 

1. 평신도가 잔을 받지 못하게 하는 행위

2. 화체설

3. 사제가 성만찬에서 사람들을 대신하여 선행을 하거나 희생 제사를 드린다는 생각

 

 

루터는 이 세 가지 견해들을 노골적으로 비성경적이라고 간주하였다. 그러나 로마교의 미사에 대한 그의 모든 비판에도 불구하고 루터는 성별된 떡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살과 피라는 견해에 도전하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루터란들과 츠빙글리를 따르는 자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다. 츠빙글리에 의하면 성례는 기독교인이 교회에 대한 그의 충성심을 다짐하고 입증하는 수단이었다. 성찬은 본질적으로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그는 주장하였다. 그는 그의 견해를 성찬 제정과 관련된 이것이 내 몸이라라는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다른 해석에 근거를 두었다. 츠빙글리에게 이 문장에 언급된 “~이다라는 단어는 실제로 “~를 상징하다또는 “~를 나타내다를 뜻하였다. 루터는 이러한 해석에 대하여 강력하게 부정적인 방식으로 반응하였다.

이들의 서로 다른 견해는 독일 개혁자와 스위스 개혁자 사이에 지속적인 논쟁거리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견해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1529년에 마르부르크회의(Marburg Colloquy)에서 성사되었다. 불행하게도 비록 참가자들은 14가지 항목에 있어서 일치를 도출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5번째 항목, 즉 성찬의 떡과 포도주에 그리스도의 참된 살과 피가 육체적으로 임재하는가를 놓고 일치를 도출해낼 수 없었다. 루터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성찬에 육체적으로 임재하시지만, 츠빙글리에게 그리스도는 단지 신자의 마음속에만 임하신다.

마르부르크회의에서 일치를 도출하는데 실패한 것은 칼빈에게 성찬론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했다. 그는 루터와 츠빙글리가 성취할 수 없었던 것, 즉 종교개혁의 서로 다른 가지에서 공통점을 찾아내고 싶었다. 칼빈은 루터란과 츠빙글리주의자들 사이에서 의도적으로 성경적이며 중재적인 근거를 찾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칼빈의 중재적 입장이 루터의 견해보다 츠빙글리의 견해에 더 가까왔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칼빈은 츠빙글리보다 루터의 입장에 동조적이었다. 그는 츠빙글리의 입장에 대하여 동일한 열심을 지니고 있지 않았다. 데이빗 슈타인메츠(David Steinmetz)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6세기 비루터란주의(non-Lutheran) 신학자들 가운데 요한 칼빈만큼 마틴 루터에게 동의하지 않기를 꺼려하거나 오히려 그와 공통점을 찾기에 열심을 내는 사람은 없었다. 1541년에 레겐스부르크(Regensburg)에서 개최된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자들의 모임에서 스트라스부르의 대표로서 최근에 파송된 칼빈은 필립 멜랑흐톤, 그리고 루터란들과 동조했으며 아욱스부르크 신앙고백서(Augusburg Confession)에 서명하였는데 이는 비루터란들 사이에서 호의적이지 않은 언급을 야기시켰다.

 

위 설명의 요점은 성찬에 관한 칼빈의 입장이 츠빙글리보다 루터의 입장에 훨씬 더 가까왔다는 점이다. 이 점은 기억해야할 중요한 사안인데 후대에 이르러 칼빈의 계승자들이 점차적으로 그의 입장을 저버리고 더욱 츠빙글리적인 교리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번역: 이신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