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신학과신앙총서17 종교개혁과 신앙 출판예정
*2023.8~9월 갱신과 부흥32호 투고논문심사 및 출판
*2023.10.31화2시 제18회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고통에 대한 멜란히톤과 헤르만바빙크의 이해(류성민, 박재은)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051-990-2267, 2268 kirs@kosin.ac.kr
갱신과 부흥 논문투고 https://kirs.jams.or.kr
투고기간: 12월1일~1월31일, 6월1일~7월31일
교회의 개혁과 신앙의 갱신과 관련한 저명한 인사들의 칼럼을 소개합니다.
글 수 144
번호
64 황대우 교수 칼럼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황대우 117551   2015-07-14 2015-07-14 17:03
작성자: 황대우 ‘인문주의’(Humanismus. Humanism)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독일의 신학자요 철학자인 프리드리히 임마누엘 니탐머(Friedrich Immanuel Niethammer)가 고전 즉 헬라어와 라틴어 교육을 강조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던 용어...  
63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자들의 독신서약과 결혼 문제/ 황대우 116859   2015-06-30 2015-07-14 17:11
작성자: 황대우 <여성과 종교개혁>이라는 책이 최근 한글로 번역되었다. 그 책은 종교개혁시대 대표적인 여성들의 역할과 활약상을 분석함으로써 그 시대 여성들이 종교개혁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는지, 또한 그 시대의 ...  
62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은 루터가 일으킨 것인가?/ 황대우 116023   2015-06-30 2015-07-14 17:12
종교개혁은 루터가 일으킨 것인가? 작성자: 황대우 종교개혁(Reformation)은 16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기독교 세계 전체를 개혁고자 한 사건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은 “기독교개혁”(Reformation of Christendom)을 의미한다. 기독교...  
61 황대우 교수 칼럼 세상은 교회의 존재 이유이다! : 세상과 소통하는 교회/ 황대우 114428   2015-06-05 2015-06-05 21:26
세상은 교회의 존재 이유이다! : 세상과 소통하는 교회 *이 글은 인터넷 신문 "개혁정론"에 실린 내용입니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1970년대에 성장고속도로를 완성한 이후 20년간 쉬지 않고 거침없이 질주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  
60 황대우 교수 칼럼 기독교 전통의 서양 결혼 역사/황대우 114112   2015-02-25 2015-02-28 08:57
기독교 전통의 서양 결혼 역사 이 글은 2006년 대한기독교서회에서 번역 출판된 존 위티 주니어(John Witte Jr.)의 저서 <성례에서 계약으로: 서양 혼인법의 역사와 신학>(From Sacrament to Contract: Marriage, Religion, an...  
59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자들의 빈부 개념과 사회복지제도/ 황대우 113906   2015-07-22 2015-07-22 10:47
종교개혁자들의 빈부 개념과 사회복지제도 작성자: 황대우 가난한 자를 구제하는 기독교 사회복지 개념은 성경의 “연보”에서 기원된 것이다. 여기서 “연보”란 그리스도인들 상호 간의 “디아코니아” 즉 “교제”를 의미한다. ...  
58 황대우 교수 칼럼 천년왕국은 존재하는가?/ 황대우 113635   2015-09-01 2015-09-01 11:40
천년왕국은 존재하는가? 작성자: 황대우 세례 요한과 예수님, 그리고 제자들에게 이어지는 천국 도래, 즉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가르침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부활 승천하신 예수님께서 다시 오셔서 세상을 심판하실 ...  
57 이신열 교수 칼럼 죽음의 의미/이신열 113268   2014-10-20 2014-10-20 13:19
죽음의 의미: 성경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이신열 (고신대학교 교수) 일반적으로 가장 회피되는 단어는 아마도 ‘죽음’이 아닐까 싶다. 하나님께서 모든 인간을 향하여 정해 놓으신 이치(히 9:27)가 죽음이므로 세상을 향한 애착이...  
56 황대우 교수 칼럼 가정: 결혼과 이혼, 그리고 자녀/ 황대우 113054   2015-08-22 2015-08-22 11:55
가정: 결혼과 이혼, 그리고 자녀 작성자: 황대우 4세기에 활동한 교부이며 라틴어 번역 성경인 불가타성경의 번역자 제롬(=히에로니무스)은 순결한 삶, 과부의 삶, 결혼한 삶에 각각 점수를 매겼는데, 순서대로 100점, 60점, 30점...  
55 이신열 교수 칼럼 교황이 교회의 머리인가?/이신열 110038   2014-10-20 2014-10-20 13:20
교황이 교회의 머리인가? *월간 고신 2013년 7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이신열 (고신대학교 신학과) 로마 가톨릭은 개신교의 가르침과는 달리 교황이 교회의 머리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의 근본적인 의미는 교황의 수위성 (primacy...  
54 황대우 교수 칼럼 칼빈이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종말론적인 삶이란?/ 황대우 105535   2015-09-12 2015-09-12 07:52
칼빈이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종말론적인 삶이란? 작성자: 황대우 그리스도인의 종말론적 삶 칼빈에 따르면 종말을 기다린다는 것이 유기된 자들에게는 끔찍스러운 것이겠지만 선택받은 신자들에게는 분명 유쾌하고 복된 일이다. 그리...  
53 이신열 교수 칼럼 칼빈의 이중적 칭의론: 존재와 행위의 칭의/ 이신열 105339   2015-07-13 2015-07-14 17:04
칼빈의 이중적 칭의론: 존재와 행위의 칭의 종교개혁자 칼빈은 루터가 주장했던 이신칭의 (justification by faith)의 핵심 개념을 수용하였다. 루터가 주장하는 이신칭의 교리의 핵심에는 로마 가톨릭의 가르침에 맞서서 하...  
52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자들의 교육지론(敎育持論)/ 황대우 104338   2015-09-25 2018-06-21 16:15
종교개혁자들의 교육지론(敎育持論) 작성자: 황대우 1453년에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까지 성경을 개인이 소장하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했다. 일단 성경은 손으로 필사된 것이었으므로 값이 너무 비쌌고, 또한 중세교회...  
51 황대우 교수 칼럼 최초의 개혁파 신학교/ 황대우 104114   2015-12-30 2015-12-30 09:46
최초의 개혁파 신학교 작성자: 황대우 ‘최초의 개혁파 신학교’하면 혹자는 ‘제네바 아카데미’를 떠올릴지 모른다. 하지만 최초의 개혁파 종교개혁지인 스위스 취리히를 감안해야 한다. 취리히 종교개혁자 츠빙글리는 성경 한 권을 ...  
50 황대우 교수 칼럼 당회, 그리고 제직회와 공동의회/ 황대우 103856   2016-05-28 2016-05-28 20:21
치리회인 당회, 그리고 교회회의인 제직회와 공동의회 당회는 장로교회의 세 가지 치리회, 즉 당회와 노회와 총회 가운데 개체교회의 유일한 치리회에 속한다. 반면에 제직회와 공동의회는 치리회가 아닌 교회회의에 속한다. 오늘...  
49 이신열 교수 칼럼 중세와 종교개혁, 그리고 정통주의에 대한 신학적 고찰/ 이신열 102684   2015-08-06 2015-08-06 17:07
중세와 종교개혁, 그리고 정통주의에 대한 신학적 고찰 A. 중세신학의 성격과 종교개혁 - 자연과 은혜의 관점에서 살펴본 신학은 항상 인간의 역사 속으로 들어오셔서 간섭하시는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서 이루어진다. 하나님께서...  
48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과 성경해석(2)/ 황대우 102576   2015-12-02 2015-12-02 12:36
종교개혁과 성경해석(2) 작성자: 황대우 중세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로마가톨릭교회가 교황권을 주장하기 위해 내세우는 가장 강력한 근거는 마태복음 16장 18-19절 말씀이다.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  
47 황대우 교수 칼럼 공부하는 목사: 배우는 자의 자세 없이는 잘 가르칠 수 없다!/ 황대우 102378   2015-12-02 2015-12-02 12:46
공부하는 목사: 배우는 자의 자세 없이는 잘 가르칠 수 없다! 작성자: 황대우 인생은 평생 배움의 길이다. 누구든 한 번뿐인 인생은 언제나 낯선 경험의 연속이다. 하지만 누구나 인생의 길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인생의 길은 스...  
46 황대우 교수 칼럼 16세기 종교개혁과 오늘 우리/ 황대우 102145   2016-01-23 2016-01-23 13:30
16세기 종교개혁과 오늘 우리 종교개혁500주년을 맞이하는 2017년을 겨냥하여 2년으로 계획되었던 연재 글을 여기서 마무리하게 된 것은, 한편으로 조금 애석한 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필자에겐 숨겨진 ‘뒷이야기’의 소재 부족에...  
45 황대우 교수 칼럼 최초의 개혁주의 종교개혁 도시/ 황대우 101900   2015-12-11 2015-12-11 16:42
개혁주의 종교개혁이 최초로 발생한 곳 작성자: 황대우 누군가 우리에게 최초의 개혁주의 종교개혁 도시가 어디인지를 묻는다면 아마도 우리는 종교개혁자 칼빈의 도시 스위스 제네바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실 제네바가 종교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