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
황대우 교수 칼럼
나는 동성애를 반대한다! 하지만.../ 황대우
|
72681 | | 2019-06-13 | 2019-06-13 11:14 |
나는 동성애를 반대한다! 하지만...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 학술원) 최근 동성애를 언급한 어느 교회 부목사의 설교가 시험대에 올라 화제다. 이미 정치화 된 민감한 주제를 용감하게 다루다가 빚어진 뜻밖의 참사였다. 왜...
|
123 |
황대우 교수 칼럼
이근삼 박사의 생애와 칼빈주의/ 황대우
|
76439 | | 2018-11-05 | 2018-11-08 09:06 |
이근삼 박사의 생애와 칼빈주의
1. 생애
1-1. 교사
이근삼 박사는 관동대지진 사건이 발생한 1923년 10월 28일 부산 서구 부용동에서 이영식과 한귀련 사이의 3남으로 출생했다.
그는 “신사참배 문제로 한...
|
122 |
우병훈 교수 칼럼
“아르뱅주의”가 가능한가?―구원에 대한 성경의 일관성 있는 가르침―(우병훈 고신대 교의학교수) <개혁정론 16.9.16>
|
77427 | | 2016-11-17 | 2016-11-17 15:08 |
“아르뱅주의”가 가능한가? ―구원에 대한 성경의 일관성 있는 가르침― 우병훈 교수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아르뱅주의? 칼뱅주의는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사람은 반드시 구원 받기 때문에 한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이다....
|
121 |
우병훈 교수 칼럼
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한 미가의 외침 (우병훈 고신대 교의학 교수) <개혁정론 16.11.8>
|
77654 | | 2016-11-17 | 2016-11-17 15:07 |
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한 미가의 외침 (미가서 6:10-16) 우병훈 교수 (고신대학교) [10] 악인의 집에 아직도 불의한 재물이 있느냐 축소시킨 가증한 에바가 있느냐 [11] 내가 만일 부정한 저울을 썼거나 주머니에 거짓 저울추...
|
120 |
황대우 교수 칼럼
기독교의 가장 중요하고 오래된 의식, 세례와 성찬의 관계/ 황대우
|
78874 | | 2018-11-05 | 2018-11-12 13:26 |
최근 한국장로교회에 유아세례와 성찬참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몇몇 장로교회는 헌법에 유아세례를 만2세까지 제한하고, 입교를 14세 이상으로 규정한다. 사실 이런 규정은 교회의 오랜 전통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
119 |
황대우 교수 칼럼
환자심방의 이유와 목적/ 황대우
|
85907 | | 2017-03-16 | 2017-03-16 13:00 |
환자 심방의 이유와 목적 심방은 목회의 필수 요소다. 즉 목회에서 결코 빠질 수 없고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 심방이다. 왜냐하면 심방의 궁극적인 목적이 성도를 구원의 길로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심방을 단...
|
118 |
황대우 교수 칼럼
한국교회의 낯 뜨거운 현실: 목사안수와 서리집사/ 황대우
|
89182 | | 2016-11-14 | 2016-11-14 10:40 |
‘최순실 게이트’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그녀의 아버지가 최태민이고 목사란다. 대한예수교장로회 종합총회에서 안수를 받았다고 하는데, 종합총회는 급조된 것이 아니라 아직도 건재하단다. 현재 종합총회의 총회장인 전기영 목사...
|
117 |
황대우 교수 칼럼
연약한 인간, 연약한 교회/ 황대우
|
89263 | | 2017-03-16 | 2017-03-16 13:25 |
연약한 인간, 연약한 교회 인간은 연약한 존재다. 피조물이므로 창조주 없이는 살 수 없는 연약한 존재다. 마지막 피조물이므로 이전의 피조물 없이는 살 수 없는 연약한 존재다. 타락한 죄인이므로 죄 짓지 않고 사는 것이 불...
|
116 |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은 자국어 승리의 사건!/ 황대우
|
90799 | | 2015-09-10 | 2015-09-10 10:55 |
자국어 승리의 혁명, 종교개혁 작성자: 황대우 교회역사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은 종교개혁은 자국어 승리의 혁명이었다. 16세기 자국어 성경과 자국어 설교, 그리고 자국어 신앙교육, 이 세 가지가 중세교회의 거의 모든 것들을...
|
115 |
황대우 교수 칼럼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 교회/ 황대우
|
91649 | | 2017-03-16 | 2017-03-16 12:57 |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인 교회 (에베소서 1장 20-21절) 우리 교회는 “0000교회”입니다. 여기서 ‘교회’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교회에 대한 정의는 다양합니다. 오늘날 신학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삼위일체인 정의입니다. 즉 ...
|
114 |
이신열 교수 칼럼
한시적 낙태사죄권 부여한 프란치스코 교황/ 이신열
|
91706 | | 2015-09-08 | 2015-09-10 06:32 |
모든 사제에게 한시적으로 낙태를 사죄할 수 있는 권한 부여에 대하여 (프란치스코 교황) 이신열(고신대, 신학과) 지난 1일 로마 가톨릭의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서를 통해 ‘자비의 희년’ (Jubilee of Mercy) 기간에 한시적으로...
|
113 |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이란 무엇인가?/ 황대우
|
96213 | | 2016-05-24 | 2016-05-24 21:52 |
종교개혁이란 무엇인가?
2017년은 종교개혁500주년이 되는 해다. 종교개혁에 빚진 것이 많은 국가와 도시는 종교개혁500주년을 맞이하기 위해 분주하다. 하지만 머나먼 유럽에서, 그것도 500년 전에 일어난 타국의 역사적 사건이 대한...
|
112 |
이신열 교수 칼럼
Karl Barth의 신학, 개혁신학을 만나다/이신열
|
96792 | | 2015-09-01 | 2015-09-01 11:39 |
Karl Barth의 신학, 개혁신학을 만나다 이신열 교수(고신대 신학과) 바르트의 신학에 관해서 짤막한 지면에 제대로 논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많은 전기 내지 평전들이 작성되어 출판되었으며 (대표작...
|
111 |
이신열 교수 칼럼
공정한 사회를 위해 필요한 교회의 5가지 실천(국민일보 기사)/ 이신열
|
98060 | | 2015-08-18 | 2015-09-10 06:37 |
공정한 사회 위해 한국교회 5가지 실천을… 이신열 교수, 사회봉사·교회제도 공정성 등 제시 공정한 한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은 무엇일까. 이신열 고신대 교수(사진)는 최근 서울 왕십리 한양대 백남학술정보관에서 열린 ...
|
110 |
황대우 교수 칼럼
시편찬송을 불러야 개혁교회인가?/ 황대우
|
98174 | | 2016-05-28 | 2016-05-28 20:17 |
시편찬송을 불러야 개혁교회인가? 시편찬송은 16세기에 편집되어 불리기 시작했다. 시편찬송의 기원은 독일 남부의 자유제국도시 스트라스부르 이지만 시편찬송의 대중화는 스위스의 신생 자유도시 제네바의 몫이었다. 시편찬송의 보편...
|
109 |
황대우 교수 칼럼
성령강림절 즉 오순절은 개혁주의 교회의 전통인가?/ 황대우
|
98669 | | 2016-05-24 | 2016-05-24 21:57 |
개혁주의 교회는 모든 교회력을 폐지했는가? 아니다. 16세기 츠빙글리의 도시 취리히는 개혁 이후에도 최소한 6개의 주요 교회력을 지켰는데, 그것은 12월 25일 성탄절, 1월 1일 할례일, 3월 25일의 수태고지일, 부활절, 승천절...
|
108 |
우병훈 교수 칼럼
“천국 상급”이란 무엇인가? (우병훈 고신대 교의학 교수) <개혁정론 16.10.14>
|
99496 | | 2016-11-17 | 2016-11-17 15:07 |
“천국 상급”이란 무엇인가? 우병훈 교수 (고신대 신학과) “천국 상급”에 대해서 다루기 전에 우선 지적해야 할 것은, 보통의 용법에서 성도가 죽어서 가는 곳을 “천국”이라고 부르는데, “낙원”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정확...
|
107 |
이신열 교수 칼럼
가장 수치스러운 혼돈 (a most shameful chaos): 동성애에 대한 칼빈의 견해/ 이신열
|
99855 | | 2015-07-01 | 2015-07-14 17:05 |
가장
수치스러운 혼돈 (a most shameful chaos): 동성애에 대한 칼빈의 견해
지난
28일 서울광장에서는 동성애자들의 축제인 퀴어 퍼레이드가 개최되었다. 주최측 추산 3만여명이 운집하는 대규모 행사이었고 많은 기독교 단체들...
|
106 |
이신열 교수 칼럼
오순절 운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개요/이신열
|
99885 | | 2015-08-12 | 2015-08-12 10:26 |
오순절 운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개요 이신열(고신대 신학과)
.bbs_contents p{margin:0px;}
20세기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게 된 오순절 운동은 현대교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글로벌 기독교 (gl...
|
105 |
이신열 교수 칼럼
칼빈이 말하는 신앙에 있어서 말씀의 역할: 거울을 중심으로/ 이신열
|
100181 | | 2015-06-19 | 2015-06-30 15:34 |
칼빈이 말하는 신앙에 있어서 말씀의 역할: 거울을 중심으로 칼빈은 자신의 <기독교 강요>에서 널리 알려진 신앙에 대한 다음의 정의를 제공한 바 있다. “신앙이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자비에 관한 확고하고 확실한 지식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