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
이상규 교수 칼럼
손 대접
|
116198 | | 2008-11-14 | 2008-11-14 09:25 |
손 대접
신약성경 로마서 12장 13절에 보면 “송도(聖徒)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고 했고, 히브리서 13장 2절에서도, “손님대접하기를 잊지 말라”고 했다. 또 초기 기독교회의 직분자들(목사, 장로, 집사...
|
40 |
이상규 교수 칼럼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
|
131337 | | 2008-11-14 | 2008-11-14 09:25 |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사실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인간은 한계와 약점을 지니고 있고, 불완전하다. 그러기에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Errare humanum est)고 하지 않았던가? 특히 성경...
|
39 |
이상규 교수 칼럼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도 알게 하라?
|
132439 | | 2008-11-14 | 2008-11-14 09:24 |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도 알게 하라?
지난 4월 초 살구색 재킷에 헐렁한 바지를 입은 할머니가 연세대학교에 찾아와서 “어려운 형편의 학생들을 위해 써 달라며” 1억원을 기부하고는 총총히 사라졌다고 한다. 이름도, 주...
|
38 |
이상규 교수 칼럼
윌리엄 윌버포스
|
133359 | | 2008-11-14 | 2008-11-14 09:23 |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 그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그에 관한 책이 역간된 것은 물론이고 그의 여정을ㄹ 그린 영화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현재 상영중이다. 노예제도 폐지를 위해 일생을 싸웠던 인도주의적 정...
|
37 |
이상규 교수 칼럼
누가 그 돌을 옮겼는가?
|
135606 | | 2008-11-14 | 2008-11-14 09:23 |
누가 그 돌을 옮겼는가?
나는 ‘부활’이라는 말이 좋다. 한번의 실수로 사경을 헤매던 우리 팀이 제기하게 된 것도 패자 부활전 덕분이었고, 미천한 기생의 몸에서 난 서얼이라는 이유로 멸시 당했던 손곡(蓀谷) 이달(李達)이...
|
36 |
이상규 교수 칼럼
이념이라는 굴레
|
133912 | | 2008-11-14 | 2008-11-14 09:22 |
이념이라는 굴레
이념(理念)이란 무엇인가? 사전적으로 말하면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관념,” 혹은 “모든 경험을 통제하는 최고의 정신적, 절대적 실재”이다. 그렇다면 이념은 개인이나 사회집단의 행동양식을 결정하는 최고...
|
35 |
이상규 교수 칼럼
역사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
136407 | | 2008-11-14 | 2008-11-14 09:21 |
역사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지난달 한국을 방문했던 일본인 친구 니시보리(西堀則男)목사는 한권의 책을 선물로 가져왔다. 동경에 들리면 가방을 내려놓기도 전에 저 간다(神田) 거리를 헤집고 다니며 고서에 일상의 피곤을 묻었던...
|
34 |
이상규 교수 칼럼
평화의 왕
|
122539 | | 2008-11-14 | 2008-11-14 09:20 |
평화의 왕
평화(平和)는 인류가 추구해 온 가장 고상한 가치이지만 가장 난해한 과제였다. 인류는 거듭된 전쟁과 폭력, 인명살상과 상실, 자연의 파괴와 같은 엄청난 재난을 경험했다. 1차 대전과 같은 대규모의 국제적인 전쟁...
|
33 |
이상규 교수 칼럼
독점 보다는 나눔을
|
138525 | | 2008-11-14 | 2008-11-14 09:19 |
독점 보다는 나눔을
해마다 11월말이 되면 추수를 감사하는 행사가 열린다. ‘추수감사절’이 그것이다. 씨를 뿌리고 김을 매고 그리고 익은 곡식을 걷어드리는 기쁨은 어느 사회에나 동일했고, 그것은 축제였다. 우리나라에도 ...
|
32 |
이상규 교수 칼럼
인권이라는 이름의 보편적 가치
|
138607 | | 2008-11-14 | 2008-11-14 09:19 |
인권이라는 이름의 보편적 가치
1974년 3월 말 부산을 방문했던『25시』의 작가 게오르규(Constant Virgil Gheorghiu, 1916-1992)의 강연은 늘 내 마음 속에 남아 있다. 당시 대학 4학년이었던 나는 루마니아태생의 망명 작가를...
|
31 |
이상규 교수 칼럼
로렌조 발라
|
136782 | | 2008-11-14 | 2008-11-14 09:18 |
로렌조 발라
1440년 9월,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문헌학자였던 로렌조 발라(Lorenzo Valla, 1407-1457)는 충격적인 사실을 발표했다. 지난 700여 년 간 사실성을 의심받지 않았던 ‘콘슨탄틴 기증서’가 위조문서인 것을 밝혀...
|
30 |
이상규 교수 칼럼
성(城)쌓기와 성 허물기
|
137298 | | 2008-11-14 | 2008-11-14 09:17 |
성(城) 쌓기와 성 허물기
성(城)이란 개인이나 집단을 숨기거나 보호하려는 의지에서 비롯된 방어적 구축물이다. 그런데 이 성(城)의 역사는 성(性)의 역사만큼이나 긴 인간 본능적인 자기 보위의 수단이었다. 처음에는 자신을 숨기...
|
29 |
이상규 교수 칼럼
위험한 곳으로도 가야한다
|
138291 | | 2008-11-14 | 2008-11-14 09:16 |
위험한 곳으로도 가야한다
아프카니스탄에서 인질로 잡혀 있는 젊은 청년들이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그들은 왜 그곳으로 갔을까? 위험한 곳이라고 자제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로 가야할 이유가 있었을까? 누가 그리...
|
28 |
이상규 교수 칼럼
사랑의 실천
|
138069 | | 2008-11-14 | 2008-11-14 09:15 |
사랑의 실천
이상규
네델란드가 스페인의 알바공의 통치를 받고 있을 때였다. 덕 윌렘스(Dirk Willems)는 당시의 주류 교회와 다른 재세례를 주장한다는 이유로 1569년 체포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는 신실한 그리스도인으...
|
27 |
이환봉 교수 칼럼
한 생애를 어떻게 살 것인가?
|
136866 | | 2008-09-09 | 2010-12-02 23:59 |
한 생애를 어떻게 살 것인가?
이환봉 교수(고신대)
우리 모두에게는 하나님께서 주신 아름다운 한 생애가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저마다 자신의 출생과 죽음 사이의 주어진 한 생애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 생애에 있어...
|
26 |
이환봉 교수 칼럼
고신대학교가 지향하는 기독교대학
|
135900 | | 2008-09-09 | 2010-12-03 00:00 |
고신대학교가 지향하는 기독교대학
이환봉 교수 (고신대학교)
고신대학교는 교회가 설립하고 운영하며 후원하는 교회의 대학이다. 따라서 교회는 대학의 신앙고백적 기초를 제공하여 영적 생명력을 공급하고 보호하며, 동시에 대학은 ...
|
25 |
이환봉 교수 칼럼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
|
152434 | | 2008-09-03 | 2010-12-12 09:29 |
“오직 성경으로”
(Sola Scriptura)
이 환 봉 개혁주의학술원장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는 교회개혁의 표어는 이미 “개혁되어진”(reformata)과 항상 “개혁되어야 하는”(reforman...
|
24 |
이신열 교수 칼럼
칼빈 연구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제언 / 이신열
|
139345 | | 2007-11-30 | 2014-10-21 10:32 |
종교개혁자 칼빈 연구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제언 - 칼빈 연구 2차 자료들의 번역에 관하여 존 칼빈 (John Calvin, 1509-1564)은 개혁주의와 세계 교회를 위해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위대한 종교개혁자이었다. 그의 영향력 아...
|
23 |
황대우 교수 칼럼
하이델베르크교리문답의 저자 우르시누스의 작품집/황대우
|
166166 | | 2007-11-21 | 2007-11-21 14:35 |
최근 개혁주의 학술원에서는 매우 귀한 고서를 구입했습니다. 그것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Catechism of Heidelberg. 1563)의 저자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Zacharias Ursinus. 1534-1583)의 신학 작품 전집입니다. 이 전집의 출판...
|
22 |
황대우 교수 칼럼
왜 서양 고전어를 배워야 하는가?/황대우
|
160038 | | 2007-11-21 | 2007-11-21 14:26 |
왜 서양 고전어를 배워야 하는가?
서양에서 고전어하면 그리이스어, 즉 헬라어와 로마어, 즉 라틴어를 의미한다. 헬라제국과 라틴제국은 서양 역사의 근간이요 모든 서양 문화의 뿌리이다. 그래서 서양인들이 자신들의 역사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