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
황대우 교수 칼럼
왜 서양 고전어를 배워야 하는가?/황대우
|
171016 | | 2007-11-21 | 2007-11-21 14:26 |
왜 서양 고전어를 배워야 하는가?
서양에서 고전어하면 그리이스어, 즉 헬라어와 로마어, 즉 라틴어를 의미한다. 헬라제국과 라틴제국은 서양 역사의 근간이요 모든 서양 문화의 뿌리이다. 그래서 서양인들이 자신들의 역사와...
|
26 |
이환봉 교수 칼럼
칼빈의 경건과 고난의 영성
|
175467 | | 2010-09-10 | 2010-09-10 11:52 |
칼빈의 경건과 고난의 영성
이환봉 교수 (개혁주의학술원장)
교회의 “영성”(spirituality)은 현대 목회 실천의 주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목회 현장의 다양한 현실적 요청에 따라 개인의 신앙 성장과 목회자의...
|
25 |
황대우 교수 칼럼
창조원리는 기독교윤리의 원형-종교개혁가 마르틴 부써의 사상 소개/황대우
|
175871 | | 2007-11-05 | 2007-11-05 13:00 |
* 이것은 [고신대학보] 313호(2007년 11월 5일 발간)에 실린 종교개혁기념 글입니다.
종교개혁가 마르틴 부써 (Martin Bucer) - 창조 원리는 기독교 윤리의 원형
슈트라스부르크의 종교개혁가 마르틴 부써(Martin Bucer. 1491...
|
24 |
이환봉 교수 칼럼
오직 그리스도로(Solus Christus)
|
176632 | | 2010-09-10 | 2010-09-10 12:17 |
“오직 그리스도로”(Solus Christus)
이환봉 교수 (개혁주의학술원장)
종교개혁 당시에 천주교의 사제주의(sacerdotalism)는 구원의 필수적 매개(necessitas media)인 성례를 집행하는 성직자들이 하나님의 용서와 구원의 은혜를 전달하는 ...
|
23 |
황대우 교수 칼럼
유아세례는 성경적인가? (코람데오닷컴, 2011, 9, 8)
|
176672 | | 2011-09-26 | 2011-09-26 15:11 |
오늘날 유아에게 세례를 베푸는 유아세례는 위기를 맞이했다. 이 위기는 성찬 참여를 세례 받은 자로 제한하는 전통이 도전 받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전통적으로 세례와 성찬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는 그 둘을...
|
22 |
이환봉 교수 칼럼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Semper Reformanda)
|
176798 | | 2007-03-14 | 2010-09-10 12:08 |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 이 환 봉 교수 (개혁주의학술원장) 오늘날 교회론을 연구하는 많은 신학자들이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 보다는 교회의 기능과 역할을 더 중요시한...
|
21 |
황대우 교수 칼럼
하이델베르크교리문답의 저자 우르시누스의 작품집/황대우
|
178041 | | 2007-11-21 | 2007-11-21 14:35 |
최근 개혁주의 학술원에서는 매우 귀한 고서를 구입했습니다. 그것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Catechism of Heidelberg. 1563)의 저자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Zacharias Ursinus. 1534-1583)의 신학 작품 전집입니다. 이 전집의 출판...
|
20 |
황대우 교수 칼럼
사도신경의 지옥강하
|
182823 | | 2011-08-30 | 2011-08-30 15:54 |
서론: 사도신경의 중요성
사도신경(Symbolum Apostolicum)의 공인본문(textus receptus)에는 예수님께서 “음부에 내려가사”(descendit ad inferna)라는 지옥강하(혹은 음부강하)에 관한 문구가 들어있지만, 한국교회가 공인한 사...
|
19 |
이환봉 교수 칼럼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Soli Deo Gloria)
|
184464 | | 2010-09-10 | 2010-09-10 13:33 |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Soli Deo Gloria)
이환봉 교수 (개혁주의학술원장)
중세 당시에 로마교는 하나님의 영광에 대해 말하였지만 사실상 그 영광의 실체와 진의에 대해 올바로 알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 영광을 ...
|
18 |
황대우 교수 칼럼
한국교회는 칼빈을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191696 | | 2011-06-09 | 2011-06-12 12:40 |
한국교회는 칼빈을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작성자: 황대우
오늘날 한국의 장로교회교단과 개혁주의를 지향하는 신학교들이 과연 칼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얼마나 그의 정신을 이어받으...
|
17 |
황대우 교수 칼럼
기도하는 삶/황대우
|
193196 | | 2007-10-06 | 2007-10-06 16:05 |
믿음과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다. 숨을 쉬지 않고 살 수 없듯이 그리스도인이 영혼의 호흡인 믿음과 기도 없이 산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믿음을 호흡기에 비유할 수 있다면 기도는 공기에 비유될 수 있을 것이다. 호흡...
|
16 |
황대우 교수 칼럼
개혁주의란 무엇인가?/황대우
|
195334 | | 2007-02-28 | 2010-12-12 09:29 |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황 대 우(창원은광교회 부목사)
개혁주의를 간단명료하게 정의하고 설명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것을 한마디로 요약해야 한다면 그것은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를 의미하는 “soli D...
|
15 |
황대우 교수 칼럼
한국초대교회 역사에 일어난 두 종류의 부흥운동/황대우
|
196250 | | 2007-02-28 | 2010-12-12 09:29 |
-뉴스앤조이 기고글-
한국초대교회 역사에 일어난 두 종류의 부흥운동
황 대 우(창원은관교회 부목사)
세계에 산재해 있는 각국의 교회들 가운데 한국교회만큼 교파를 가릴 것 없이 마치 유니폼을 입은 듯 단일한 모습으로 부흥에...
|
14 |
황대우 교수 칼럼
이순신과 칼빈/황대우
|
196386 | | 2007-02-28 | 2007-02-28 16:21 |
- 뉴스앤조이 기고글 -
이순신과 칼빈: 16세기의 위대한 두 인물
황 대 우(창원은광교회 부목사)
요즘 불멸의 이순신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의 영웅이다. 이순신 장군은 1545년에 태어났다. 지금부터 자...
|
13 |
황대우 교수 칼럼
개혁교회 당회의 기원 역사 /황대우
|
197046 | | 2007-05-11 | 2007-05-11 15:45 |
개혁교회 당회의 기원: 칼빈의 제네바와 초기 네덜란드개혁교회
1537넌에 제네바 정부에 제출한 「제네바의 교회와 예배의 조직에 관한 조항 (Articles concernant l'organisation de l' glise et du clute a Gen ve)」에서 ...
|
12 |
황대우 교수 칼럼
중세 수도원 영성의 부정적 유산/ 황대우
|
197082 | | 2007-02-28 | 2007-02-28 16:19 |
- 뉴스앤조이 기고글 -
중세 수도원 영성의 부정적 유산
황 대 우(창원은광교회 부목사)
1.
서방이든 동방이든 유럽의 중세 세계는 기독교 신앙에 의해 이룩되었고 유지되었다. 당시 가장 중요한 개념은 “하나님”이었다. 하나...
|
11 |
황대우 교수 칼럼
제11차 아시아칼빈학회 참관기/황대우
|
197361 | | 2011-04-07 | 2011-04-07 11:52 |
제11차 아시아칼빈학회 참관기 - 기독개혁신보 2011년 2월호에 게재됨
제11차 아시아칼빈학회가 지난 1월 17일(월)부터 19일(수)까지 3일 동안 “21세기를 위한 칼빈”(Calvin for the 21st Century)이라는 주제로 서울 사당동...
|
10 |
황대우 교수 칼럼
땅 밟기 기도와 최바울 (코람데오 닷 컴 2011, 5, 11)
|
199261 | | 2011-05-20 | 2011-05-23 11:56 |
땅 밟기 기도와 최바울 십자군 운동 같은 공격적 선교 방식은 지양되어야 한다. 황대우 목사 (코닷 연구위원) 최근 KWMA 인터콥지도위원회에서 인터콥을 방문 지도한 결과 [세계영적도해]라는 책을 회수하고 수정판을 내기로 했...
|
9 |
황대우 교수 칼럼
개혁교회의 표지: 칼빈과 16세기 개혁파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황대우
|
199925 | | 2007-05-11 | 2010-12-12 09:29 |
교회의 표지 - 칼빈과 네덜란드 신앙고백
‘교회의 표지’라는 말이 교회를 정의하는데 결정적일 역할을 하게된 것은 종교개혁시대부터이다. 물론 이전에도 이 용어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종교개혁가들이 이 용어를 빌어...
|
8 |
황대우 교수 칼럼
제10회 세계칼빈학회를 다녀와서/황대우
|
200197 | | 2011-04-07 | 2011-04-07 11:51 |
제10회 세계칼빈학회를 다녀와서 - 기독신문 2010년 10월호와 기독개혁신보 2010년 9월호에 게재됨
4년마다 개최되는 세계칼빈학회(International Congress on Calvin Research)는 16세기 종교개혁가 존 칼빈(John Calvin,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