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
이상규 교수 칼럼
손 대접
|
128132 | | 2008-11-14 | 2008-11-14 09:25 |
손 대접
신약성경 로마서 12장 13절에 보면 “송도(聖徒)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고 했고, 히브리서 13장 2절에서도, “손님대접하기를 잊지 말라”고 했다. 또 초기 기독교회의 직분자들(목사, 장로, 집사...
|
19 |
이상규 교수 칼럼
평화의 왕
|
134505 | | 2008-11-14 | 2008-11-14 09:20 |
평화의 왕
평화(平和)는 인류가 추구해 온 가장 고상한 가치이지만 가장 난해한 과제였다. 인류는 거듭된 전쟁과 폭력, 인명살상과 상실, 자연의 파괴와 같은 엄청난 재난을 경험했다. 1차 대전과 같은 대규모의 국제적인 전쟁...
|
18 |
이상규 교수 칼럼
갱신과 부흥 10호를 펴내며
|
137898 | | 2012-08-09 | 2012-08-09 15:28 |
권두언
이상규(개혁주의학술원 원장)
이번에 ‘갱신과 부흥’ 10집을 발간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갱신과 부흥’은 본 학술원의 ‘소식지’ 형태로 발간되어 왔으나 이번 호(제10호)부터는 내용을 쇄신하여 정기...
|
17 |
이상규 교수 칼럼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
|
144192 | | 2008-11-14 | 2008-11-14 09:25 |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사실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인간은 한계와 약점을 지니고 있고, 불완전하다. 그러기에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Errare humanum est)고 하지 않았던가? 특히 성경...
|
16 |
이상규 교수 칼럼
평화
|
144432 | | 2008-11-14 | 2008-11-14 09:27 |
평화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성경에 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단어가 나온다. ‘샬롬’이라는 단어이다. 히브리어는 우리 눈에는 글자 같지도 않지만 그것은 가나안 방언으로부터 유래한 셈족어인데, 아람어로 기록된 일부를 제외...
|
15 |
이상규 교수 칼럼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도 알게 하라?
|
145146 | | 2008-11-14 | 2008-11-14 09:24 |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도 알게 하라?
지난 4월 초 살구색 재킷에 헐렁한 바지를 입은 할머니가 연세대학교에 찾아와서 “어려운 형편의 학생들을 위해 써 달라며” 1억원을 기부하고는 총총히 사라졌다고 한다. 이름도, 주...
|
14 |
이상규 교수 칼럼
윌리엄 윌버포스
|
145723 | | 2008-11-14 | 2008-11-14 09:23 |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 그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그에 관한 책이 역간된 것은 물론이고 그의 여정을ㄹ 그린 영화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현재 상영중이다. 노예제도 폐지를 위해 일생을 싸웠던 인도주의적 정...
|
13 |
이상규 교수 칼럼
이념이라는 굴레
|
146276 | | 2008-11-14 | 2008-11-14 09:22 |
이념이라는 굴레
이념(理念)이란 무엇인가? 사전적으로 말하면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관념,” 혹은 “모든 경험을 통제하는 최고의 정신적, 절대적 실재”이다. 그렇다면 이념은 개인이나 사회집단의 행동양식을 결정하는 최고...
|
12 |
이상규 교수 칼럼
건강한 사회
|
146738 | | 2008-11-14 | 2010-12-12 09:29 |
건강한 사회
건강한 사회를 영어로는 사운드 소사이티(sound society)라고 말한다. ‘사운드’라는 말은 ‘소리,’ ‘음향,’ 혹은 ‘울림’이나 ‘반향’이란 뜻인데, 이 단어가 ‘건실한,’ ‘정상적인,’ 혹은 ‘안정한’이란 뜻을...
|
11 |
이상규 교수 칼럼
누가 그 돌을 옮겼는가?
|
147956 | | 2008-11-14 | 2008-11-14 09:23 |
누가 그 돌을 옮겼는가?
나는 ‘부활’이라는 말이 좋다. 한번의 실수로 사경을 헤매던 우리 팀이 제기하게 된 것도 패자 부활전 덕분이었고, 미천한 기생의 몸에서 난 서얼이라는 이유로 멸시 당했던 손곡(蓀谷) 이달(李達)이...
|
10 |
이상규 교수 칼럼
역사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
148455 | | 2008-11-14 | 2008-11-14 09:21 |
역사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지난달 한국을 방문했던 일본인 친구 니시보리(西堀則男)목사는 한권의 책을 선물로 가져왔다. 동경에 들리면 가방을 내려놓기도 전에 저 간다(神田) 거리를 헤집고 다니며 고서에 일상의 피곤을 묻었던...
|
9 |
이상규 교수 칼럼
로렌조 발라
|
149238 | | 2008-11-14 | 2008-11-14 09:18 |
로렌조 발라
1440년 9월,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문헌학자였던 로렌조 발라(Lorenzo Valla, 1407-1457)는 충격적인 사실을 발표했다. 지난 700여 년 간 사실성을 의심받지 않았던 ‘콘슨탄틴 기증서’가 위조문서인 것을 밝혀...
|
8 |
이상규 교수 칼럼
성(城)쌓기와 성 허물기
|
150087 | | 2008-11-14 | 2008-11-14 09:17 |
성(城) 쌓기와 성 허물기
성(城)이란 개인이나 집단을 숨기거나 보호하려는 의지에서 비롯된 방어적 구축물이다. 그런데 이 성(城)의 역사는 성(性)의 역사만큼이나 긴 인간 본능적인 자기 보위의 수단이었다. 처음에는 자신을 숨기...
|
7 |
이상규 교수 칼럼
사랑의 실천
|
150307 | | 2008-11-14 | 2008-11-14 09:15 |
사랑의 실천
이상규
네델란드가 스페인의 알바공의 통치를 받고 있을 때였다. 덕 윌렘스(Dirk Willems)는 당시의 주류 교회와 다른 재세례를 주장한다는 이유로 1569년 체포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는 신실한 그리스도인으...
|
6 |
이상규 교수 칼럼
위험한 곳으로도 가야한다
|
150321 | | 2008-11-14 | 2008-11-14 09:16 |
위험한 곳으로도 가야한다
아프카니스탄에서 인질로 잡혀 있는 젊은 청년들이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그들은 왜 그곳으로 갔을까? 위험한 곳이라고 자제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로 가야할 이유가 있었을까? 누가 그리...
|
5 |
이상규 교수 칼럼
인권이라는 이름의 보편적 가치
|
150669 | | 2008-11-14 | 2008-11-14 09:19 |
인권이라는 이름의 보편적 가치
1974년 3월 말 부산을 방문했던『25시』의 작가 게오르규(Constant Virgil Gheorghiu, 1916-1992)의 강연은 늘 내 마음 속에 남아 있다. 당시 대학 4학년이었던 나는 루마니아태생의 망명 작가를...
|
4 |
이상규 교수 칼럼
독점 보다는 나눔을
|
150734 | | 2008-11-14 | 2008-11-14 09:19 |
독점 보다는 나눔을
해마다 11월말이 되면 추수를 감사하는 행사가 열린다. ‘추수감사절’이 그것이다. 씨를 뿌리고 김을 매고 그리고 익은 곡식을 걷어드리는 기쁨은 어느 사회에나 동일했고, 그것은 축제였다. 우리나라에도 ...
|
3 |
이상규 교수 칼럼
잠들지 않는 역사
|
152092 | | 2008-11-14 | 2008-11-14 09:27 |
잠들지 않는 역사
2004년 11월 9일, 미국 켈리포니아주 남쪽 17번 고속도로변의 자동차안에서 머리에 총을 맞아 숨진 미모의 여성이 발견되었다. 근처를 지나가던 운전자의 신고로 경찰이 조사에 나섰고, 그 여성은 아리스장...
|
2 |
이상규 교수 칼럼
정당한 것, 그 이상의 것
|
154810 | | 2008-11-14 | 2008-11-14 09:26 |
정당한 것, 그 이상의 것
중국에 한 크리스천 농부가 있었다. 어느 한해 중국에 심한 가뭄이 들었다. 논과 밭이 말라갔고 농작물은 서서히 죽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이 농부의 논에는 다행히도 물이 고여 있었다. 여전히 폭...
|
1 |
이상규 교수 칼럼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총서 제6권 "칼빈과 종교개혁가들"을 펴내면서
|
159412 | | 2012-03-26 | 2012-03-26 16:03 |
이번에 개혁주의학술원에서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총서’ 제6권을 펴내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저희 연구원에서는 이미 『칼빈과 교회』(제1권, 2007), 『칼빈과 성경』(제2권, 2008), 『칼빈과 사회』(제3권, 2009), 『칼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