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주일예배


지금 대한민국 전체가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 사태로 대혼란을 겪고 있다. 국민들이 코로나 19 사태가 진정 국면인 것처럼 느끼는 상황에서 갑자기 이번 주 대구의 신천지교회 사건이 터지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대구와 청도는 재난지역으로 선포되고 감염 확진자가 다녀간 곳은 지역 자치단체가 나서 사실상 거의 강제 폐쇄하는 수준이다. 교회들도 예외가 아니다. 일단 이단인 신천지교회들이 주 대상이다. 신천지 이단이 숨어서 활동하던 교회에도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강제 폐쇄된다. 보건당국에 의해 교회가 강제 폐쇄된다는 것은 일정 기간 그 건물을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 따라서 주일예배도 정상적으로 드리기 어렵다.

   보건당국은 이런 대혼란이 더욱 확산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임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일부 교회가 자발적으로 주일예배 모임을 방송예배 등과 같은 것으로 대체하기로 결정하면서 인터넷 누리꾼들 가운데 그런 결정을 비난하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도 더러 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그런 결정은 모이기를 힘쓰라고 요구하는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게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 이 코로나 19 사태를 국가적 재난 상황으로 보아야 하고 정부가 이 재앙의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가능한 교회도 지혜롭고 이성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선제적으로 예배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일정 장소에 모이는 것을 피하고 다른 대안을 모색하는 행위를 단순히 비성경적이라고 비난하기보다는, 오히려 지혜로운 결정이라고 칭찬해야 하지 않을까? 

   한곳에 모이지 않고 드리는 예배는 진정한 예배가 아닌가? 특별하고 예외적인 상황 때문에 한 장소에 모일 수 없다면 얼마든지 흩어져서도 예배드릴 수 있다. 그리고 흩어져서 드리는 예배도 예배다. 핍박이나 전쟁의 시기에는 가정에서 가족들만으로도 드릴 수 있는 것이 기독교 예배다.

   물론 어떤 특별한 이유 없이 단지 인간적인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그렇게 한다면 그것은 비난받아 마땅한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 이런 상황에서 한 장소에 모이지 않고 일시적이고 임시적으로 방송예배를 드리는 행위를 과연 비성경적이라고 비난할 수 있을까? 대재난 상황에서 교회가 한 장소에 모이지 않고 드릴 수 있는 방송예배나 가정예배로 주일예배를 대체한 결정은 오히려 지혜로운 일이 아닐까? 그런 교회의 대처는 지극히 인간적인 편의도모나, 믿음 없는 건강 제일주의의 산물이라 보기 어렵다. 오히려 감염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선제적으로 방지하려는 지혜로운 예방책이라고 보아야 한다.

   누군가 모여야 교회이고 한 장소에서 모여서 드리는 예배만이 진정한 예배라고 주장한다면 비상시의 일반적이지 않은 모든 예배는 모두 예배라 규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전통적으로 예배 집례자는 목사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목사 없는 예배를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 즉 비상시에는 목사 없이도 예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성경은 예외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고 허용한다. 또한 다양한 예배 형태를 제시한다.

   성경이 성도의 삶을 위한 유일한 지침이지만 교회는 성경과 함께 전통도 마땅히 존중한다. 그래서 목사가 집례하는 예배, 주일마다 일정한 장소 혹은 약속된 장소에서 드리는 예배를 존중한다. 하지만 특별한 이유가 있는 비상시에는 목사 없는 예배도 가능하고 일정한 장소에서 모이지 않는 예배도 가능하다. 성경 어디에서도 이런 것들을 금지하거나 비난하는 본문을 찾기란 쉽지 않다. 예외는 예외일 뿐이다. 예외가 일반화되는 어리석음도 범하지 말아야 하겠지만 관습을 절대화하는 어리석음도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14세기 중세 인구의 약 1/4을 감소시킨 것으로 평가되는 흑사병에 대한 당시 거의 유일한 대처법은 도피였다. “빨리 [떠나라], 멀리 [도피하라], 늦게 [돌아오라]!”(Cito, longe, tarde). 흑사병이 발병한 장소를 벗어나 도망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 과학의 첨단을 달리는 지금이라고 다를까? 물론 수많은 백신들이 개발되었으므로 상황이 나아진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근본적인 대처방법은 아직도 여전히 ‘도피’뿐이지 않은가? 코로나 19 환자를 피하지 않을 사람은 아마도 가족 외에는 없을 것이다. 지혜로운 가정이라면 감염된 가족의 일원으로부터 떨어져 지내는 것을 감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떨어져 지내는 것을 사랑이 없다고 비난할 수는 없다. 그것은 사실 더 나은 상황을 위해 일시적으로 떨어져 지내는 것일 뿐이다. ‘이보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라는 말도 있지 않는가! 익숙한 예배장소에서 일시적으로 떠나 예배한다고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 식은 예배일까? 그렇게 한다고 그것이 합당한 예배가 되지 않는 것일까? 그리스도인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은 이런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주장이 아니다. 지금은 전염병이라는 재앙이 왜 발생했는지 알 수 없지만 가능하다면 그것을 피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지혜롭고 현명하다.

   확진자가 발생한 교회를 정부가 강제로 폐쇄하는 일을 일제 강점기의 기독교 탄압이나 박해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없듯이, 이런 국가적이고 사회적인 비상시국에서 교회가 일시적으로 평상시 예배의 형식을 바꾸어 다른 형태로 드리는 것이 비성경적이라거나 부당한 예배 방법으로 간주될 수 없다. 또한 그것을 믿음이 부족하다거나 교회론에 문제가 있는 예배로 간주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14세기 유럽 전역을 단숨에 점령한 흑사병은 ‘번영의 전염병’이라 평가된다. 그것은 당시 중세 유럽이 지중해 중심의 활발한 상업으로 상당히 부유해졌을 때 발생했기 때문이다. 흑사병은 유럽에서 14세기에 잠시 유행하고 사라진 것이 아니라, 15-16세기에도 간헐적으로 일부 지역을 무서운 공포 속으로 몰아넣었다. 원인도 적절한 대처방법도 전혀 몰랐다. 환자를 격리하고 모임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고 발병 장소를 벗어나는 길 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 루터와 멜랑흐톤, 부써, 칼빈, 베자도 예외가 아니었다.

   지금 교회는 과연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현명하고 지혜로울까? 그리고 신앙 양심을 거스르지 않을 수 있을까? 서로 비난하고 비방하기보다는 함께 지혜를 모으고 협력해야 할 때라 생각한다. 이런 사회적 재앙을 맞아 총회가 나서서 이런 문제에 대한 성경적 원리를 찾고 지혜롭고 현명한 대처 방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하면 더 없이 좋을 것 같다.

 

*위 글은 "개혁정론"에 게재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