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tin Luther's Theology of Beauty번역서 출판예정
*2024.5.7(화,2시)제15회 칼빈학술세미나(송용원)
제목:한국교회를 위한 칼빈의 공동선
*총서 종교개혁과 결혼과 가정 출판예정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051-990-2267, 2268 kirs@kosin.ac.kr
갱신과 부흥 논문투고 https://kirs.jams.or.kr
투고기간: 12월1일~1월31일, 6월1일~7월31일
칼빈의 생애와 사역 그리고 그의 신학과 사상 전반에 관한 연구논문들을 수록하였습니다.
본문을 읽기 위해선 AcroBat Reader 8.0 이상을 권장합니다.

글 수 971
번호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811 논문 종교개혁과정에 나타난 John Calvin의 교육사상 연구 - 조현숙
[레벨:7]웹관리자
19308   2011-07-08
종교개혁과정에 나타난 John Calvin의 교육사상 연구 - 조현숙  
810 논문 존 헷셀링크, "칼빈의 신앙교육서들에 나타난 교리" 논평/문병호
웹관리자
19301   2007-05-16
존 헷셀링크, "칼빈의 신앙교육서들에 나타난 교리" 논평/문병호  
809 논문 칼빈의 해석학 연구의 최근 동향 / 안명준
관리자
19274   2007-01-23
칼빈의 해석학 연구의 최근 동향 / 안명준  
808 논문 칼빈의 신학과 영성/최태영
[레벨:0]웹관리자
19249   2007-02-15
칼빈의 신학과 영성/최태영  
807 논문 칼빈의 기도론 / 백유현
관리자
19248   2007-01-23
칼빈의 기도론 / 백유현  
806 뉴스 조셉 파이파 교수가 본 ‘칼빈의 신학과 목회’①
[레벨:9]하늘소망
19243   2009-07-08
조셉 파이파 교수가 본 ‘칼빈의 신학과 목회’① [기독교보 2009-02-25 14:37:08]조회 : 165 칼빈, 사람들의 영혼․구원에 큰 관심 “장로교회의 교회정치 원리 발전…성경적”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은 지난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삼양교회당에서 ‘칼빈의 신학과 목회’란 주제로 제32기 정기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세미나에서 주제 강의를 한 조셉 파이파 교수(미국 그린빌 신학교 학장)의 강의 내용을 요약, 정리했다. -편집자 주- ■ 칼빈의 생애와 사역…1년에 200회 강의·설교 존 칼빈은 1509년 7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북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피카르디의 작은 마을 누아용에서 태어났다. 칼빈은 파리대학 안의 몬테뉴대학에서 초대 교부들에 대한 강도 높은 훈련을 받기도 했다. 이 대학은 극단적인 금욕주의로 알려져 있으며, 엄격한 훈련과 규율로 유명하다. 그 뒤 오를레앙 법학과에 받은 법학 훈련은 그의 신학적, 철학적 훈련과 함께 그가 완성된 개혁자로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역할을 했다. 1529년 헬라어 학자이자 루터교도인 볼마르는 1529년 부르주 대학에서 칼빈에게 헬라어를 가르침으로써 신약성경을 헬라어로 읽고, 성경을 연구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조셉 파이파 교수 칼빈이 언제 어디서 회심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거의 말하지 않으려 했던 칼빈의 ‘과묵함’에서 기인한다. 파이파 교수는 “칼빈이 언제 갑작스런 회심을 했는지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칼빈의 회심에 배경이 될 만한 몇몇 영향들을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칼빈은 조용한 학자로 살아가길 원했지만, 하나님은 그를 조용한 개인으로 살도록 나두지 않았다. 파이프 교수는 그의 사역의 첫 부분을 ‘방랑’이란 제목으로 다루고 있다(1533-1536). 칼빈은 신교도에 대한 박해가 점점 심해지자 프랑스를 떠나 독일어권 스위스 지역이었던 바젤로 여행했다. 거기서 1535년 기독교 강요 초판을 썼다. 기독교 강요의 원판은 프랑스 개신교도들의 신앙을 변호하기 위해 쓰였다. 1536년 9월 15일 제네바 시 의회는 칼빈을 고용해 종교 개혁자 윌리엄 파렐을 돕도록 했다. 이에 파렐은 칼빈에게 ‘신령한 책의 교수’라는 직함을 주었고, 칼빈은 바울서신을 강의하기 시작했다. 그는 즉시 성경의 원리들을 제네바 시민들의 생활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시민들의 생활에서 개인적인 거룩함을 촉구했고, 교회가 스스로를 관할하고 다스릴 수 있는 자율권과 출교를 행할 수 있는 자유를 요구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개혁자들과 개혁에 대해 점점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1538년 4월 23일 칼빈과 파렐은 제네바에서 추방됐다. 이 때 칼빈은 스트라스부르그로 가서 마틴 부처와의 대화를 통해, 그리고 교회 정치와 예배에 대한 그의 원칙을 자유롭게 시행하면서 그의 교리와 실천을 보다 분명하게 발전시켰다. 1541년 칼빈이 제네바로 돌아온 직후, 제네바 시는 칼빈이 준비한 ‘교회법’을 받아들였다. 거기에서 칼빈은 장로교회의 교회정치 원리를 발전시켰다. 교회정치 영역은 칼빈이 종교개혁에 가장 독창적인 공헌을 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교회법’에서 그는 교회 권징에 있어서 교회의 자율권을 확립했다. 파아파 교수는 “제네바에서 가장 큰 갈등들 가운데 하나는 교회의 순수성과 출교권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1549년 자유사상가들이 전권을 장악하면서 1553년 칼빈은 다시 제네바로 축출될 위기에 놓이게 됐다. 신학적인 갈등이 더 심각해지면서 자유사상가들은 거짓 교사들 편에 가담하곤 했다. 신학적인 논쟁의 두 가지 큰 주제는 칼빈의 예정설과 삼위일체 교리의 방어다. 1553년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이단자 세르베투스의 처형은 칼빈에게 정세 변화를 위한 촉매제가 됐다. 세르베투스 편에 선 자유사상가들의 평판은 땅에 떨어지고, 칼빈에 대한 새로운 지지층이 나타났다. 1555년 시의회는 교회에 출교권을 허용했다. 시의회가 개혁주의 법안을 지지하는 이들이 선출됨에 따라 같은 해 자유사상가들은 폭동을 일으켰으며, 도시에서 추방되어 귀환이 금지됐다. 이에 제네바는 종교개혁의 선두 도시가 된 것. 1559년 6월 5일 칼빈은 제네바 아카데미를 개교했으며, 이 아카데미는 뒤에 제네바 대학으로 승격됐다. 칼빈은 성년이 돼 건강이 나쁜 가운데에도 왕성한 서신 왕래, 1년에 200회 강의, 같은 수의 설교를 했다. 질병은 칼빈이 1564년 죽기까지 따라 다녔다. 파이파 교수는 “칼빈의 영향은 세계적인 동시에 포괄적”이라며 “그는 개혁주의 누룩이 퍼지는 모든 나라마다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목회 사역…목양 접근 ‘교회법’에 종합 “칼빈은 목회 사역으로 인해 늘 쫓기는 생활을 했지만, 그의 목회적 돌봄의 사역은 그 모든 것들을 유지시켜주고 붙들어주는 접착체와도 같은 것이었다.” 파이파 교수는 “칼빈의 가장 큰 관심은 그 무엇보다 사람들의 영혼과 그들의 구원을 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목양을 위한 그의 접근은 ‘교회법’에 종합되어 잘 나타나 있다. 이것은 1537년 완성됐으나 1541년이 되기까지 시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 문서는 성경적 교회 정치의 재발견의 초석이 됐다. 교회법에서 칼빈은 성경으로부터 4가지 직분 개념을 발전시켰다. 목사와 교사와 장로와 집사가 바로 그것. 목사는 설교와 교훈과 권면, 그리고 성례를 위해서 있으며, 교사는 신학을 강의하며, 교리의 순수성을 지키고, 목회자 후보생들을 훈련시키는 자들이다. 장로들은 교회의 치리자들이다. ‘형제적 권고’ 또는 ‘훈계’는 칼빈이 가장 좋아하는 표현이다. 교회 권징의 가장 상위 기관인 치리회는 12명의 장로들과 목회자들로 함께 구성돼 있다. 집사는 교회의 재산과 필요한 자들을 돌보기 위한 자들이다. 칼빈은 제네바에서 두 종류의 집사를 세웠다. 하나는 교회의 헌금을 비롯한 재산을 관리하는 집사들이고, 또 하나는 병자와 가난한 자들을 섬기기 위한 집사들이다. 이 직분들과 역할을 통해서 제네바의 목회적 돌봄(목양)을 구성했다. 권징의 문제는 시의회와 치리회 양쪽에서 진지하게 여겨졌다. 파이파 교수는 “칼빈은 권징이 효과적이 될 수 있으려면 설교와 교훈이 함께 수반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믿었다.”고 말했다. 칼빈은 마태복음 18장을 따라서 권징의 세 가지 단계를 가르쳤다. 사적 권면, 증인이나 교회 앞에서의 (공적) 권면, 그리고 출교의 단계다. 권징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명예를 위해 △몸(교회)의 보호를 위해 △범법자의 교화를 위해 등 3가지 목적을 갖고 있다. 책망을 받는 사람, 출교되는 사람들이 그들의 비열하고 타락한 행동을 부끄럽게 여겨 회개에 이를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칼빈은 그의 목회 사역에서 영혼을 돌보는 일에 자신을 헌신했다. 그는 성화의 위대한 목표는 “영혼이, 인간이 상실한 내지는 희미하게 된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을 나타내는 순종과 거룩함과 선함을 점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칼빈이 ‘기독교강요’를 저술한 또 하나의 주요한 목적은 ‘확신이 없고 괴로워하는’ 성도들을 위로하고 교훈하기 위해서다. 영혼들에 대한 칼빈의 (목회적) 돌봄은 특히 그의 편지들에서 엿볼 수 있다. 맥닐은 베누아를 따라서 칼빈에게 ‘영혼의 감독’이라는 호칭을 주었다. 칼빈이 영혼을 지도하고 감독한 것은 성경에 의해서 잉태된 환경에서 글을 쓰며, 성경을 읽는 것과 묵상하는 것을 계속 촉구하고, 그의 성경적 신앙의 교리적 관점들에 대해 늘 강조했다는 점에서 성경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칼빈의 서신은 △개혁 촉진시키기 위함 △위로와 격려 △종교개혁 과정에서 방해로 고통 받거나 박해 당하는 사람들 격려 △양심상의 문제들에 대한 답과 조언 △믿음을 부인한 사람들을 견책 등 다섯 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목회자 칼빈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파이파 목사는 “칼빈주의의 유산을 누리고 있는 우리들은 칼빈주의를 우리의 것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즉 우리가 교회 정치에 있어서 장로교회인 이유는, 우리가 칼빈주의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는 그것이 성경적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며 “질서정연한 교회와 우리의 직분자들을 훈련시키는 일 또한 필요하다는 점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경적으로 기능하는 당회와 집사들이 없이는 참된 종교개혁을 성취할 수 없다. 파이파 목사는 설교만으로 종교개혁을 성취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교회 권징을 성경적으로 시행하는 데 더욱 힘쓰자.”며 “그리스도의 명예와 개교회의 건강과 죄인들의 교정은 권징은 얼마나 신실하게 시행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이국희 기자 cookie0228@hanmail.net  
805 논문 칼뱅 사상에서 인문주의와 스콜라주의의 관계 - 이은선
[레벨:7]웹관리자
19238   2011-07-12
칼뱅 사상에서 인문주의와 스콜라주의의 관계 - 이은선  
804 뉴스 “칭의 바른 이해가 복음 능력 드러낸다”
[레벨:9]하늘소망
19223   2009-07-08
“칭의 바른 이해가 복음 능력 드러낸다” [기독교보 2009-03-24 23:15:31]조회 : 132 개혁신학회 학술 세미나…‘칼빈과 한국 교회’② 강웅산 교수…칼빈 칭의론 통한 한국교회 문제 해결 방법 제안 일반적으로 한국 교회는 칭의론은 잘 가르쳤는데, 성화는 안 가르쳤다고 말한다. 구원에 대한 확신은 강한 반면, 삶 속에서 구원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 않는 괴리 현상을 두고 하는 말이다. 강웅산 교수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이에 대해 강웅산 교수(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는 ‘칼빈의 칭의론과 한국 교회’란 주제의 논문발표에서 “문제의 원인이 칭의론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부터 출발하기 때문이다.”고 지적하면서 “칼빈은 칭의론을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틀’에서 설명하고 있다.”고 말한다. 칼빈에게 그리스도와의 연합 속에서 칭의와 성화가 구분은 되나 분리되지 않도록 설명하고 있으며, 이것의 실천적 의미는 구원은 받았으나(칭의) 구원의 삶을 보이지(성화) 않은 일은 있을 수 없다는 것. 이에 강 교수는 칼빈의 칭의론을 바로 이해하면 기독교인의 삶은 분명히 복음의 능력을 드러낼 것으로 보고 있다. 강 교수는 “칼빈이 연합의 구도를 통해 구원을 설명하는 방법은 전통적으로 구원 서정(ordo salutis)을 직선적인 개념으로 이해했던 것과는 다르게, 구원 체험에 대한 입체적이며,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이해를 가능케 한다. 그 증거가 칼빈이 말하는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지는 이중 은혜다.”고 말한다. 강 교수에 따르면 이중 은혜는 하나는 연합 속에서 지속되는 생명의 교류와 결과인 변화의 효과, 즉 성화를 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연합의 관계로 인해 달라진 신분상의 법정적 효과, 즉 칭의다. 칼빈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단순히 구원 서정의 한 국면이 아니라, 구원 서정 전체를 묶는 하나의 틀 또는 방법론이다. 칼빈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설명하면서 ‘실제’ 또는 ‘본질’이란 용어를 종종 사용한다. 강 교수는 “칼빈이 강조하는 것은 믿음을 통해 이뤄지는 연합이 상징 또는 가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한 몸이 되는 일체됨에 그 의미가 있다는 강조로 이해해야 할 것”이라며, “그 연합은 성령을 통해 이뤄지는 영적 연합이면서 동시에 실제로 하나라는 사실적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한다. ▲‘칼빈의 칭의론과 한국 교회’란 주제로 발표하는 강웅산 교수(가운데), 논평 맡은 오창록 교수(왼쪽). 강 교수에 따르면 칼빈은 그리스도의 의(구속사적 의)가 연합을 통해서 나의 것이 됨을 강조한다. 이것은 칼빈의 신학의 틀이 되는 언약 사상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써, 나와 구분되는 그리스도의 의가 연합을 통해 나의 것이 된다는 것이 칼빈의 칭의론 이해에 있어 중요한 특징이다. 칼빈은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를 그와 더불어 하나가 되게 하셨기 때문에 그의 의가 우리의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칭의’를 소극적인 측면에서 죄 사함과 적극적인 측면에서 의인됨을 동시에 이해하는 것은 오늘날 기독교인들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부분이다. 강 교수는 “예수 그리스도가 육을 입으시고 중보자 되심의 의미에 대해 칼빈은 그리스도가 우리를 위해 의가 되셨다고 압축하고 있다. 칭의 되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의는 바로 이 의다.”며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은 ‘의인’이라는 강조를 제대로 하지 못할 때, 교회는 대사회적 기능, 즉 빛과 소금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고 강조한다. 그는 “믿음이 우리를 칭의 시키는 것은 믿음이 갖고 있는 어떤 힘이 아니라 믿음의 대상, 즉 그리스도 때문이라는 것이 칼빈의 강조다.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할 때, 그리스도의 의가 전가되어 그 의로 말미암아 성부 앞에서 의롭다 여겨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믿음의 강조는 칼빈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의 의만이 칭의의 근거임에 대한 강조가 되는 것이며, 믿음의 도구성과 연결된다. 믿음의 도구성은 구속사적 완성이 구원 서정적 적용이 되는데 있어서 오직 그리스도만이 근거임을 강조하는 장치다. 칼빈에게 ‘오직 믿음’은 ‘오직 그리스도의 의’만이라는 말이다. 강 교수는 “믿음으로 칭의 된다는 것은 성화를 배제하고, 그리스도의 의를 덧입을 수 없다.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소유한다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칭의와 성화 모두를 누리는 것”이라며 “칼빈은 칭의와 성화의 관계를 그리스도 안에서 누리게 되는 이중 은혜라고 부르고 있다.”고 설명한다. 칭의는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단회적 선언인 반면, 성화는 하나님이 죄인을 지속적으로 거룩하게 변화시켜 나가는 일이다. 강 교수는 “칼빈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칭의론을 개진해 가는 큰 틀이며, 방법론이었음을 확인한다.”며 “칼빈의 방법론, 즉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충분히 숙지한다면 한국 교회는 교인들의 삶과 관련하여 오늘날 당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오창록 교수(개신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는 논평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연합과의 관련성 속에서 칭의론을 제대로 가르치고 이해시키기만 하면 신자들의 삶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리라는 주장은 바로 공감을 얻기가 어렵다.”며 “칭의론의 원리가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적용되어 역동적 진리로 나타남과 관련해서는 좀 더 구체적인 대안들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국희 기자 cookie0228@hanmail.net  
803 논문 칼빈의 실천적 삼단논법/유정우
[레벨:0]웹관리자
19222   2007-02-15
칼빈의 실천적 삼단논법/유정우  
802 논문 칼뱅에게 있어서 여성 지도력과 아디아포라_이필은
[레벨:7]웹관리자
19214   2011-05-04
칼뱅에게 있어서 여성 지도력과 아디아포라_이필은  
801 논문 칼빈과 웨슬리의 믿음개념 비교연구 - 최영식
[레벨:7]웹관리자
19206   2011-08-08
칼빈과 웨슬리의 믿음개념 비교연구 - 최영식  
800 논문 칼빈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언약신학(박희석)
[레벨:7]웹관리자
19202   2008-08-31
칼빈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언약신학(박희석)  
799 논문 칼빈의 삼위일체론 / 김재성
관리자
19199   2007-01-23
칼빈의 삼위일체론 / 김재성  
798 논문 칼빈의 성경 주석 원리(Gamble 견해 비판) / 황대우
관리자
19190   2007-01-23
칼빈의 성경 주석 원리(Gamble 견해 비판) / 황대우  
797 논문 칼빈의 중보 기도론 / 임혜종
관리자
19189   2007-01-23
칼빈의 중보 기도론 / 임혜종  
796 논문 칼빈의 성령론/이은선
[레벨:0]웹관리자
19154   2007-02-15
칼빈의 성령론/이은선  
795 논문 구원의 정점(Culmen Salutis): 칼빈이 설교한 기독론 (문병호)
[레벨:7]웹관리자
19152   2008-08-31
구원의 정점(Culmen Salutis): 칼빈이 설교한 기독론 (문병호) 개혁논총 제6권에서 발췌  
794 논문 칼빈과 니고데모파의 논쟁 - 윤수일
[레벨:7]웹관리자
19143   2011-08-03
칼빈과 니고데모파의 논쟁 - 윤수일  
793 논문 Quo vadis, Calvine? / 문병호
웹관리자
19140   2007-05-16
Quo vadis, Calvine? / 문병호  
792 논문 조나단 에드워즈의 칼빈주의 부흥이해 - 강웅산
[레벨:7]웹관리자
19136   2011-05-11
조나단 에드워즈의 칼빈주의 부흥이해 - 강웅산  
Top